궁금했었으나 알아볼 기회가 없었는데 이번에 알게된 부분에 대해 적어본다.
1.
onMounted(() => { // 데이터 값 받아오기
var requestOptions = {
method: 'GET',
redirect: 'follow'
};
fetch(`http://localhost:8080/board/PaginatedBoard?page=${page.value}`, requestOptions)
.then(response => response.json())
.then(result => {
data.value=result;
console.log("하하")
})
.catch(error => console.log('error', error));
console.log("호호")
})
이 코드를 실행했을 때 왜 콘솔창에 '호호'가 먼저 뜨고 그 뒤에 '하하'가 뜨는지 궁금했었다.
저런 현상을 내가 알기로 비동기라고 알고 있는데 저기엔
적어도 async awite 같은 게 없는데 왜 비동기처럼 움직이지?
-> gpt가 거짓말을 한 것일 수 도 있지만, gpt왈
'fetch 함수는 비동기적으로 동작합니다. 비동기 함수는 해당 함수가 실행되고 그 결과를 기다리지 않고 다음 코드가 실행되는 특징이 있습니다.'
라고 한다.
2.
uri와 url에 대해 무슨 차이가 있는지 몰랐다.
이 부분도 크로스체크를 해봐야 하지만 일단.
uri는 요청할 때의 주소로
위의 것으로 볼 때 'http://localhost:8080/board/PaginatedBoard?page=${page.value}' 이런 게 uri인 것이고,
그냥 '주소' path를 의미할 때는 url로 말한다는 거 같다. 마치 www.naver.com 같은 것
아니 www.naver.com도 페이지를 요청하는 거 아닌가?
아직도 몰라~
'프로젝트관련 > 저스트 보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(경험) int(Long)와 flot(Double) (0) | 2023.08.08 |
---|---|
(경험)조회와 검색과 페이지네이션. (0) | 2023.08.08 |
Math.ceil (0) | 2023.08.07 |
java의 다중상속 금지 (0) | 2023.08.06 |
OnMount의 fetch 바로 받아오게 하기 (0) | 2023.08.03 |